<p></p><br /><br />사건의 뒷 이야기를 들어보는 백브리핑 코너, 사공성근 기자 나왔습니다. <br><br>Q1. 최근 홍콩 시위 사태가 우리 대학가에서 한국 학생들과 중국 유학생들 대리전 양상으로 확산되고 있다고요? <br><br>네 홍콩 상황이 그만큼 심상치 않다는 겁니다. <br> <br>지난 6월 시작된 홍콩 시위가 최근에는 전쟁 상태를 방불케 합니다.<br> <br>한국 대학생들이 이런 홍콩의 민주화 시위를 지지하면서 중국 유학생들과 마찰이 전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겁니다. <br><br>Q2. 어떤 식의 마찰인가요? 물리적인 출동도 있었나요? <br><br>전국의 대학가에 설치된 '레넌 벽'을 보시죠. <br> <br>"홍콩 항쟁 지지한다" "폭력은 민주화가 아니다" 라는 등 홍콩 시위를 지지하는 글이 붙었습니다. <br><br>한국 학생들이 게시물을 설치하자 중국 유학생들이 반발하고 나선겁니다. <br><br>"홍콩은 영원히 중국의 땅" "한국 학생들의 머리에 문제가 있다" 등의 글을 붙이는 가 하면, <br><br>심지어 대자보를 훼손하기도 하는데요. <br> <br>실제로 몸싸움이 일어나기도 했습니다.<br><br>Q3. 우리 학생들 반응은 어떻습니까? <br><br>일부 학생들은 "마라탕도 먹지 말자"고 말할 정도로 반중 감정이 격화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학교 근처에서 중국인이 운영하는 식당 정보를 공유하는가 하면, '원래 중국인이 싫다'라는 반응도 있습니다. <br> <br>물론 물리적 충돌까지 벌어지면서 나타나는 양상인데, 그렇지만 감정적인 혐오로 이어져선 안 되겠죠. <br><br>Q4. 이렇게 '반중' 감정이 격화되고, 홍콩을 지지하게 되는 이유가 있을까요? <br><br>홍콩인들은 지금 시위를 80년대 우리 민주화 운동에 비유하며 한국인들의 지지를 호소하고 있습니다. <br><br>실제 시위 현장에서 '임을 위한 행진곡'이 울려 퍼지기도 했었고, <br><br>홍콩에는 80년대 민주화 운동을 그린 국내 영화들이 널리 알려지기도 했는데요. <br> <br>영화 속 모습도 지금의 홍콩과 비슷합니다. <br> <br>최근에는 중3 학생이 머리에 최루탄을 맞아 중태에 빠지는 등 더 격렬해지고 있습니다.<br> <br>우리 젋은 세대들이 직접 겪진 않았지만, 남일 처럼 보이지 않는 것이죠. <br><br>오늘도 서울에서는 중국을 규탄하는 집회가 열렸습니다. <br> <br>[서영인 / 대학생] <br>"남의 일이라고 생각하지 않고, 저희도 이제 민주화 운동을 한 경험이 있으니까. 경험과 역사를 살려서 홍콩 시민들에게 작은 힘이라도 되면…." <br><br>Q5. 우리 학생들 반응은 어떤가요? <br><br> 우리 학생들은 "과도한 비하는 삼가자. 성숙하게 대응하자"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중국 유학생들에게도 자중하고 교양있게 주장할 것을 부탁했는데요. <br> <br>다만 지속적으로 게시물이 훼손되면 경찰에 수사를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<br>Q6. 이번엔 대학이 아니라 중학교 교실 얘기를 한 번 해보죠. 대구의 한 중학교에서는 학생이 교사를 때려 논란입니다. 여교사가 수술을 받을 정도로 큰 사건이었죠? <br><br>네 어제 보도해드렸는데요. <br> <br>대구의 중학교 2학년 교실에서 벌어진 일인데요, 수업 중에 엎드려 자는 남학생을 여교사가 깨우자, 이 남학생이 주먹을 휘두른 겁니다. <br> <br>여교사는 얼굴 뼈가 함몰 돼 수술을 받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[학교 관계자] <br>"네. 많이 맞았어요 얼굴도 함몰되고 그랬지. (어떻게 주먹으로?) 네." <br><br>Q6. 자는데 깨웠다고 선생님을 폭행했다는 게 잘 이해가 되지 않는데요? <br><br>네 알고 보니 이 학생은 바로 분노조절장애가 있었습니다. <br> <br>치유학교인 '위스쿨'도 다녀온 걸로 전해지는데요. <br> <br>수사에 착수한 경찰관계자는 "가해자가 만 14세 미만이어서 법원 소년부에 넘겨질텐데, 정신병력으로 정상참작 될 가능성이 높다"고 말했습니다. <br><br>Q7. 결국 이 학생이 받은 징계는 전학 조치가 전부라고요? <br><br>수업 중에 교실에서 일어난 폭력사건이라 다른 교사들과 학생들의 정신적 충격도 상당한 것으로 전해집니다. <br><br>그럼에도 중학교는 의무교육이라서 징계 중 가장 강력한 조치가 전학인 겁니다. <br> <br>이 마저도 지난달 17일에 교원지위법관련 법령이 새로 시행되고 나서 처음 적용됐습니다. <br><br>Q8. 사실 교권이 침해당하는 사건이 이번이 처음은 아니잖아요? <br><br>지난 2015년에는 학생들이 선생님을 빗자루로 때리고 침까지 뱉는 일이 있었습니다. <br> <br>다른 학생들은 웃으며 이 영상을 찍고 있었고요.= <br><br>지난 5년간 교권침해 사건이 1만 5천건 이상 일어났습니다. <br> <br>폭언과 욕설이 가장 많았고, 폭행과 성희롱도 적지 않았습니다. <br><br>학생이든, 교사든 학교폭력 피해자가 되는 경우는 없어져야 하겠죠. <br><br>취재·구성 : 사공성근 기자, 배준 작가 <br>연출·편집 : 황진선PD, 이혜림PD <br>그래픽 : 김민수 디자이너, 성정우 디자이너